개를 나타내는 ‘狗’와 ‘犬’의 차이.
개는 옛날부터 인간과 아주 밀접한 관계를 가진 동물이다. 이것을 나타내는 漢字로 ‘犬’과 ‘狗’가 있다. 이 차이는 뭘까? 한자는 똑같은 글자를 두 번 만드는 일은 없다. 그 글자의 유래들을 보면 한자는 그 모양과 관련된 회화문자이고, 한 글자가 역사이며, 문화이고, 철학이며, 미학이다. ‘狗’자와 ‘犬’자의 차이는 무엇일까?
우선 ‘狗’란 글자의 유래를 찾아보면 한나라 유방의 심복이었던 번쾌가 개를 잡아서 파는 것으로 나오는 데 이때의 글자가 ‘狗’이다. 孟子에 나오는 ‘鷄豚狗彘’라고 해서 먹는다는 의미의 ‘狗’란 글자가 있다. 이로 보면 ‘狗’는 잡아먹는 용도로 기르는 개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우리나라에도 누런 개를 ‘黃狗’라고 했고, 하얀 개는 ‘白狗’라 했고, 검은 개는 ‘黑狗’라고 했다. ‘狗’는 식용개로서 사용되었고 개를 잡아먹는 것은 동방민족의 음식문화였다.
‘犬’자는 좀 다른 것이었다. 아마도 기른다는 의미가 강했다. 애완용으로 기르는 것은 愛玩犬, 의로운 개를 忠犬이라고 했고, 군사용으로 기르는 개는 軍犬등으로 사용되는 데 이것으로 보아 ‘犬’자는 기른다는 의미가 강했다. 이런 犬 은 우리나라도 잡아먹지 않았다. 오히려 묻어주고 충견에 대해서는 제문도 지어주고, 비석도 세워주며, 동상도 세워주는 나라이다. 보신탕으로 먹는 개고기 이것을 가지고 미개한 나라라고 할 수 있을까? 민족의 고기 개고기가 최근에 와서 수난을 받았던 적은 많다. 1988년 올림픽이 있을 때 우리나라가 개고기를 먹는 나라라고 비하하여 거리의 보신탕집 간판을 다 떼어 내린 일이 있었다. 자기의 식성이 도저히 안 맞으면 할 수 없는 일이지만 저도 보신탕은 별로 좋아하지 않지만 민족문화에 대한 문화종속에는 반대한다. 그렇다고 개를 사랑하지 않는 것은 더더욱 아니다. 개에 대한 한자가 똑바로 쓰이길 기대한다. 잡아먹는 개 狗, 기르는 개 犬, 이렇게 가르쳐야하지 않을까?
'한자문화콘텐츠 연구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라의 酒사위 '목제주령구(木製酒令具)' (4) | 2024.11.09 |
---|---|
기와의 미학. 원의 사분지 일. (7) | 2024.11.09 |
술, 酒와 酎의 차이. (0) | 2024.11.09 |
과도한 세금 징수 망국의 지름길. (2) | 2024.11.09 |
천방지축마골피 (1) | 2024.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