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자문화콘텐츠 연구소

(50)
중국 고대 결승에 대한 연구 중국 고대 ‘結繩’에 對한 一硏究 신두환 (안동대 한문학과 교수) -目次-1. 問題의 提起2. 漢字의 起源과 結繩3. 結繩에서 書契로4. 結論 이 논문은 漢字의 起源에 대한 敎育과 硏究의 一環으로 中國 古代의 結繩에 대해 硏究한 것이다. 한자를 교육하는 교사들은 한자의 기원을 교육할 때 결승을 언급한다. 5000년 중국 역사의 모든 문헌에는 蒼頡이 문자를 만들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황제시대는 결승으로 나라를 다스렸다고 언급하고 있다. 결승은 언제 태동되어서 어떻게 발전되다가 어떻게 소멸되었을까? 결승은 정치에 활용되면서, 수많은 형태의 결승문자로 발전되었으며, 결승의 다양한 표현은 문자의 형태로 대신하여 표현되기 시작했을 것이다. 許愼의 「說文解字·敍」에도 蒼頡은 결승을 바탕으로 서계를 만들었다고 기록..
敬亭(경정) 석문집> 敬亭 有事無忘助 어떤 일도 잊지 말고 조장하지도 말라 臨深益戰兢 깊은 못에 임한 듯 더욱 조심하라惺惺須照管 늘 깨어있는 자세로 세상을 관조하며毋若瑞巖僧 서암승에게 묻지 않고 실천하려 애쓰리라  이 시는 이해하기가 쉽지 않다. 퇴계의 학문은 ‘敬’ 한자에 있다. 남명의 학문도 ‘敬’ 한자에 있다. 흔희들 한국의 유교는 敬사상이라고 말한다. 그렇다면 敬이란 무엇인가. 朱子는 敬을 主一無適으로 해석하였다. 이는 마음이 하나가 되어 방만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무조건 외부의 접촉을 단절시켜 마음만 비우는 것이 아니라 心身을 수렴하는 것을 말한다.  敬은 塊然이 올올하게 앉아서 귀에 듣는 바가 없으며 눈에 보는 바가 없으며 마음에 생각하는 바가 없은 뒤에 敬니라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다만 ..